'OS/Linux'에 해당되는 글 5건
- 2013.08.31 :: Ubuntu 서버 세팅 A to Z
- 2013.08.31 :: iptables setting on Ubuntu
- 2012.03.19 :: CentOS에서 Apache 재시작 1
- 2012.03.19 :: 서버 시간 자동설정
- 2012.03.19 :: JDK 설치 1.6 CentOS5
우분투 관련 세팅 글 중에 가장 깔끔한 글
출처 : https://lael.be/213
1) 버전체크
#uname -aLinux LaelServer02 2.6.28-11-server #42-Ubuntu SMP Fri Apr 17 02:45:36 UTC 2009 x86_64 GNU/Linux
2) Ubuntu 버전체크
#cat /etc/issueUbuntu 9.04
3) 하드용량체크
#df -h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
/dev/mapper/LaelServer02-root
37G 739M 35G 3% /
tmpfs 244M 0 244M 0% /lib/init/rw
varrun 244M 72K 244M 1% /var/run
varlock 244M 0 244M 0% /var/lock
udev 244M 148K 244M 1% /dev
tmpfs 244M 0 244M 0% /dev/shm
lrm 244M 2.7M 242M 2% /lib/modules/2.6.28-11-server/volatile
/dev/sda5 228M 14M 202M 7% /boot
대략 다 더하면 40G가 나온다.
4) 메모리 체크
#cat /proc/meminfoMemTotal: 499248 kB
MemFree: 326264 kB
Buffers: 8092 kB
Cached: 111848 kB
SwapCached: 0 kB
Active: 49092 kB
Inactive: 80836 kB
Active(anon): 12948 kB
Inactive(anon): 0 kB
Active(file): 36144 kB
Inactive(file): 80836 kB
Unevictable: 0 kB
Mlocked: 0 kB
SwapTotal: 1462264 kB
SwapFree: 1462264 kB
Dirty: 8 kB
Writeback: 0 kB
AnonPages: 10036 kB
Mapped: 5332 kB
Slab: 14688 kB
SReclaimable: 7712 kB
SUnreclaim: 6976 kB
PageTables: 1188 kB
NFS_Unstable: 0 kB
Bounce: 0 kB
WritebackTmp: 0 kB
CommitLimit: 1711888 kB
Committed_AS: 31512 kB
VmallocTotal: 34359738367 kB
VmallocUsed: 840 kB
VmallocChunk: 34359734959 kB
HugePages_Total: 0
HugePages_Free: 0
HugePages_Rsvd: 0
HugePages_Surp: 0
Hugepagesize: 2048 kB
DirectMap4k: 8128 kB
DirectMap2M: 516096 kB
대략 320M의 가용메모리가 있다.
5) 자잘한 업글
apt 목록 갱신#apt-get update
설치되어있는 프로그램 최신버전패치
#apt-get upgrade
6) Apache2 설치
#apt-get install apache2부팅시 자동실행 된다. (기본값)
설치 완료되면 자동적용 및 시작된다.
확인해본다. http://256.123.213.213(서버의아이피)
웹브라우져에 It Works 라고 뜨면 성공.
7) PHP 5.x 설치
#apt-get install php5자동으로 아파치 중단시키고 설정파일에 php를 등록시키고 재 구동시킨다.(바로 적용됨)
#apt-get install php5-cli
콘솔에서 php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위와 같이 실행
버전체크
#php -v
PHP 5.2.6-3ubuntu4.5 with Suhosin-Patch 0.9.6.2 (cli) (built: Jan 6 2010 22:41:58)
Copyright (c) 1997-2008 The PHP Group
Zend Engine v2.2.0, Copyright (c) 1998-2008 Zend Technologies
5.2.6 버전이다.
8) Mysql 설치
#apt-get install php5-mysqlphp5 연동모듈 설치
#apt-get install mysql-client-5.1
역시 콘솔 컨트롤을 위해서
#apt-get install mysql-server
mysql데몬 설치. 재부팅시 자동실행된다.
설치중에 root비밀번호를 세팅할 수 있다.
버전체크
#mysql -V
mysql Ver 14.14 Distrib 5.1.31, for debian-linux-gnu (x86_64) using EditLine wrapper
5.1.31 버전이다.
기본 언어셋 설정(중요)
이 단계를 건너뛰면 DB가 latin1 으로 생성되며 추후 DB작업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.
#vi /etc/mysql/my.cnf
[mysqld] 항목에 다음 3 줄을 추가한다.

default-character-set=utf8
character-set-server = utf8
collation-server = utf8_general_ci
#ubuntu 12.04 LTS 에서는 아래의 두줄만 작성합니다.
*Fine Tuning 의 max_allowed_packet 을 256M 로 변경
(DB한 행의 데이터 크기 제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)

[mysqldump]에도
max_allowed_packet 을 256M으로
변경사항저장
9) 계정생성 및 동작테스트
원래 표준명령어는 useradd 이지만 사용하기 좋게 adduser 를 지원한다.리눅스 관련 서적을 보면 둘다 계정생성용 명령어라고 되어있다.
쉬운 설정을 위해 adduser를 사용
#adduser my_lael_be
#<추가> 10.04버전부터 url과 같은 사용자 생성이 가능하다. (다음줄은 URL로 사용자를 만든 예시)
#adduser my.lael.be --force-badname
저는 주로 www 디렉토리를 사용합니다.
사용자변경 후 www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빠져나오기
#su -l my_lael_be
#mkdir www
10) 아파치에 등록
다음의 내용을 작성한다.
#11.11.03 샘플파일 추가.
다음의 파일을 다운받아서 알맞게 수정한 후에
/etc/apache2/sites-available/my_lael_be 에 저장한다.
#연결될 도메인을 설정합니다. (main domain)
ServerName lael.be
#다중도메인 설정을 합니다. 서브도메인 및 전혀다른 도메인도 가능합니다. (additional domain)
ServerAlias www.lael.be
DocumentRoot /home/my_lael_be/www/
#additional setting
<Directory /home/my_lael_be/www/>
Options FollowSymLinks MultiViews
AllowOverride All
Order allow,deny
allow from all
</Directory>
</VirtualHost>
ServerAlias 는 사용안하면 빼도 되는 줄이다.
저장은 다음위치에/etc/apache2/sites-available/my_lael_be
11) 사이트 enable
#a2ensite my_lael_be#/etc/init.d/apache2 reload
한번에 끝내는 Ubuntu 서버세팅 (우분투 서버세팅).pdf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ptables setting on Ubuntu (0) | 2013.08.31 |
---|---|
CentOS에서 Apache 재시작 (1) | 2012.03.19 |
서버 시간 자동설정 (0) | 2012.03.19 |
JDK 설치 1.6 CentOS5 (0) | 2012.03.19 |
IPTables는 리눅스에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는 방화벽이다.
커널의 네트워크 관련 옵션에서 NetFilter로 모듈들이 있어야 제대로 동작을 하는데,
현재 거의 대부분의 리눅스 또는 우분투에서 지원되고 있다.
그러면 아래와 같이 간단한 몇 가지 명령을 주어 방화벽 설정을 할 수 있다.
sudo iptables -A INPUT -m state --state ESTABLISHED,RELATED -j ACCEPT
sudo iptables -A INPUT -p tcp --dport ssh -j ACCEPT
sudo iptables -A INPUT -p tcp --dport 80 -j ACCEPT
sudo iptables -A INPUT -j DROP
sudo iptables -I INPUT 1 -i lo -j ACCEPT
sudo iptables -I INPUT 5 -m limit --limit 5/min -j LOG --log-prefix "iptables denied: " --log-level 7
sudo iptables -L -v
sudo sh -c "iptables-save > /etc/iptables.rules"
vi /etc/network/interfaces
위의 내용에 아래의 두줄을 추가
pre-up iptables-restore < /etc/iptables.rules
post-down iptables-save -c > /etc/iptables.rules
그러면 매번 부팅할 때 적용된다.
출처
http://mcchae.egloos.com/5202741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서버 세팅 A to Z (0) | 2013.08.31 |
---|---|
CentOS에서 Apache 재시작 (1) | 2012.03.19 |
서버 시간 자동설정 (0) | 2012.03.19 |
JDK 설치 1.6 CentOS5 (0) | 2012.03.19 |
/etc/init.d/httpd restart
기초는 언제나 중요함 :)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서버 세팅 A to Z (0) | 2013.08.31 |
---|---|
iptables setting on Ubuntu (0) | 2013.08.31 |
서버 시간 자동설정 (0) | 2012.03.19 |
JDK 설치 1.6 CentOS5 (0) | 2012.03.19 |
#! /bin/bash
/usr/bin/rdate -s time.bora.net && /sbin/clock –w
자주 까먹는 것 중에 하나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서버 세팅 A to Z (0) | 2013.08.31 |
---|---|
iptables setting on Ubuntu (0) | 2013.08.31 |
CentOS에서 Apache 재시작 (1) | 2012.03.19 |
JDK 설치 1.6 CentOS5 (0) | 2012.03.19 |
-- Java Install
wget http://download.oracle.com/otn-pub/java/jdk/6u29-b11/jdk-6u29-linux-x64-rpm.bin
chmod -c 744 ./jdk-6u29-linux-x64-rpm.bin
./jdk-6u29-linux-x64-rpm.bin
-- Java Home Setting
vi /etc/profile
export JAVA_HOME=/usr/java/default
export PATH=$PATH:$JAVA_HOME/bin
export CLASSPATH=$JAVA_HOME/jre/lib:$JAVA_HOME/lib/tools.jar
Install Oracle (T.T) JDK 6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서버 세팅 A to Z (0) | 2013.08.31 |
---|---|
iptables setting on Ubuntu (0) | 2013.08.31 |
CentOS에서 Apache 재시작 (1) | 2012.03.19 |
서버 시간 자동설정 (0) | 2012.03.19 |